목록2024/04/12 (10)
한국화재연구소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화재는 진압되거나 제어 될 것입니다. 영국의 BRE(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비영리건축연구소) 에서는 제연설비를 설계하기 위해 결정해야할 화재크기를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와 공간용도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래전 출간된 1999년 자료로서 자동차화재의 경우 현재는 대략 4000 ~ 8000 kW를 적정크기로 보기 때문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으므로 참고 정도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공간의 용도 화재면적, m2 화원의 둘레, m 단위면적 당 열방출률, kW/m2 총 대류열방출률 소매 상점 표준스프링클러 10 12 625 5,000 속동형스프링클러 5 9 625 2,500 스프링클러미설치 실 전체 개구부의..
스프링클러의 경우 RTI값을 제공받을 수 있어 공학계산을 통해 작동시점 계산이 가능하지만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의 경우에는 특종과 1종으로 구분되어 있을뿐 RTI값을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감지기 검정시 풍동시험테스트 기준을 근거로 특종과 1종에 대해 RTI값을 산출해보았습니다. 본 자료는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지기 형식승인 관련 규정] 제16조(정온식감지기의 공칭작동온도의 구분, 감도시험 및 화재정보신호) ① 정온식감지기(아날로그식 제외)의 공칭작동온도는 60 ℃에서 150 ℃까지의 범위로 하되, 60 ℃에서 80 ℃인 것은 5 ℃ 간격으로, 80 ℃ 이상인 것은 10 ℃ 간격으로 하여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시험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작동시험 공칭작동온도의 125 %가 되는 온도이고..
열감지기는 정온식과 차동식의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정온식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작동하는 방식이고 차동식은 설정한 온도상승율에 도달하면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두가지 열감지방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감지시간 분석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림1은 일반적인 공간에서 화재성장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와 매우 빠른 경우 두가지 환경에서 정온식과 차동식감지기의 작동시간을 계산한 것입니다. 감지기는 가장 많이 설치하는 특종 정온식과 2종 차동식으로 선정하였으며, 계산툴은 미국의 NIST에서 제공하는 C-Fast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계산프로그램은 국가화재평가원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http://tool.kfsl.co.kr/login 의 화재안전계산툴 메뉴를 통해 이용이 가능합니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화재사고로 특히 어린아이들이 숨지는 사고가 개인적으로는 매우 가슴이 아픕니다. 화재시 유아들의 행동특성은 집안의 장롱이나 구석등에 많이 숨는다고 합니다. 이는 탈출시간을 놓치게 되어 안타까운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화재사례를 보어도 어린이 들이 집안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가 사망한 경우가 많습니다. 가정에 어린 자녀가 있는 분들은 화재시 무조건 바깥으로 나오도록 놀이 형태의 훈련이라도 가끔씩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릴때는 소화기 훈련보다 대피훈련이 더 중요합니다.
천정과 같은 은폐공간 그리고 전기판넬 등의 내부에 축적된 먼지는, 가연성이 매우 강하여 작은 점화원에도 쉽게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먼지가 축적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먼지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화재시 연소확대속도를 빠르게 하여 더 위험합니다. 전기판넬 내부에 축적된 먼지는 단자사이에 도전로를 형성하여 단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곧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자는 항상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천정과 같은 은폐공간 내부의 먼지는, 일반적으로 3mm 이상 축적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드물지만 쥐가 전선을 갉음으로서 발생하는 단락사고가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것도 중요..
전쟁시 마지막까지 사수해야하는 전선을 마지막보루라고 할 때 화재시 마지막까지 안전을 확보해야하는 공간은 피난계단일 것입니다. 특히 고층빌딩일수록 계단실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건물내 모든 사람의 피난이 완료될때까지 피난계단은 열과 연기로 부터 보호받아야 합니다. 건축법에서 규정하는 특별피난계단은 화재시 열과 연기로 부터 장시간 안전을 확보하도록 성능을 요구하고 있는데, 화염으로부터 견딜수 있도록 내화구조의 방화구획과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압제연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문제는 화재층에서 피난중에 간헐적으로 열렸다 닫혔다하는 계단실과 옥내사이의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연기의 방호를 어떻게 하는것이 가장 효과적인걸까 라는 것에 대해 비교적 최근에야 압력차를 이용한 방연기법 즉 차압제연을 이용..
화재진압에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재로 발생하는 열방출률을 알아야 합니다. 화재크기는 동력단위와 동일한 W 를 사용합니다. 가연물은 고유의 열량을 가지며 화재는 가연물이 가지고 있는 열량(에너지)을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열량은 Cal와 같은 개념이며 열량의 방출시간이 짧을 수록 화재의 크기는 커지면 반대로 열방출시간이 길수록 화재크기는 작아질 것입니다. 열방출시간이 매우 긴 화재의 대표적인 예가 훈소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화재크기의 산정은 방출열량을 얼마만한 시간동안 방출하느냐에 결정되므로, 이를 개념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화재크기(Heat Release late) = Q' = Cal/s = J/s = W 동력단위와 동일합니다. 표1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략적인 열..
언젠간 잠재손실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방법론이 사업장의 위험관리체계 구축에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st Step [위험식별] 위험관리의 첫번째는 관리해야할 위험을 식별하는 일입니다. 위험의 종류는 대단히 많기 때문에, 사업장에 가장 위협이 될 위험을 선별하여 관리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입니다. 만일 어떤 사업장이 말라리아로 부터의 위험을 주요 관리대상 위험으로 한다면 너무도 황당한 일이 되겠지만, 말라리아와 관련된 지역과 교류가 많은 사업장의 경우에는 당연히 관리해야 할 중요한 위험이겠지요. 이러한 위험의 식별은 국가차원과 기업 그리고 개인차원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위험진단] 위험식별을 통해 관리대상 위험이 정해지면, 현재..
2017년 8월 23일 저녁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Pacific BioEnergy(PacBio)의 3500톤 규모의 우드팰릿 사일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사일로 구조물의 손상 및 인명피해 없이 화재진압에 성공한 좋은 사례로 남았습니다. 처음 사일로 내부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후 7일동안 화재진압이 진행되었습니다. 대부분 물을 쏟아부어 진압을 시도하였으나 모두 실패로 끝난 과거의 사례를 교훈삼아 다른 방법을 시도하여 성공하게 된 것입니다. 물을 우드펠릿 사일로 붓게되면 그림1,2와 같이 팰릿은 물을 흡수하여 부풀어오르게 되며, 마치 담요처럼 덮어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며, 심할 경우 사일로를 붕괴시킬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부의 열분해된 매우 뜨거운 팰릿과 수분이 ..
건물의 연돌효과는 겨울철 화재시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 승강로 등의 수직 샤프트를 통해 상층부로 연기를 확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제연설비 설계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입니다. 연돌효과는 연기의 전파 뿐만 아니라 연소를 확대시키는 요인이며, 피난은 물론 소방관의 소화활동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연돌효과가 어떤 원리로 발생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그림1과 같이 연돌효과는 건물내 상승기류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저층부 화재로 부터 발생한 연기가 곧바로 상층부로 이동하기때문에 오히려 상층부가 먼저 연기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a). 연돌효과로 인해 건물의 중간층 정도인 중성대 위쪽은 수직샤프트의 압력이 옥내보다 높고 중성대 아래쪽은 샤프트의 압력이 옥내보다 낮아 집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