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압제연설비 또는 급기가압제연설비 또는 부속실제연설비 또는 방연설비 등... 동일한 설비에 대해 이름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개인적 소견으로는 차압방연설비가 어떨까 합니다 ^^
방연풍속 측정시 흔히 열전대풍속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열전대 풍속계는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부 역기류를 정상으로 판단할 오류가 있습니다. 따라서 얇고 가는 실오라기 등으로 함께 확인하면서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그림은 방연풍속 0.7m/s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수행결과인데, 문의 상부측에 역기류가 형성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역기류는 낮은 방연풍속, 좁은 전실, 출입구와 너무 가까운 배출구 등에 의한 와류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좋은 인사이트 있는 글 감사합니다. 상단 FDS 시뮬레이션의 경우, 출입문 인근에 보이는 상단만 빨간색인 노란색 직육면체가 혹시 화재 모델인건가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현재 출입문 상단에 역기류가 발생하는 이유가 다른 이유보다도 화재로 인한 부력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 때문에 출입문에 two-way flow가 형성되는게 아닌가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