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방화.내화 (3)
한국화재연구소
- 이택구 소방기술사 - 다음 비디오는 영국의 ASFP라는 건축방재전문가 협회에서 제작한 방화문에 대한 내용이다. 화재시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는데 있어 1) 방화문의 중요한 역할을 설명하고 2) 도어가 올바르게 설치되고 3) 제대로 유지 보수되는지 점검 할 때 고려해야 할 일반적인 기능을 잘 설명하고 있어서 역시 인명안전을 중시하는 선진국이라는 생각이 든다. 법적 설치기준만 가지고 있으며 적법여부에만 매달리는 있는 것이 국내 현실이다. 이에만 만족하고 국민의 안전을 책임진다는 정부이다.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책임질 사람만 처벌하면 모든일이 마무리 되고 그 것으로 끝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8RQzl02C-N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WznQo/btsGq0LwaZN/8DWkzvh2TpCidpfOTQQuQ1/img.jpg)
방화문의 틈새에 대한 기준이 있어 찾아보았습니다. 특히 장애인 이동편의를 위해 방화문의 턱을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단부 틈새기준을 참고하면 좋을듯 합니다. 물론 이것을 국내에 적용할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NFPA 80은 도어 간격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여 방화문 및 기타 개구부 보호 장치에 대한 표준을 설정합니다. 표준은 상세하며 문 유형과 재료에 따라 다릅니다. 다음은 주요 요구 사항을 요약한 것입니다: 건축용 하드웨어가 있는 여닫이문(NFPA 80, 섹션 6.3.1.7.1): 목재 문: 문 하단 아래 여유 공간: 최대 3/4인치(19mm) 문과 프레임 사이의 간격 1/8인치(0.3mm) 한 쌍의 도어 모서리 간 간격: 1/8인치(0.3mm) 강철 문: 도어 하단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eUoR/btsGqizprcF/mJCdCW7goswsrSWLs5b6Uk/img.jpg)
NFPA 1 Fire Code 12.7.6.6.10 에는 방화벽에 내화유리를 설치할 경우, 방화벽면적의 25%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규정이 없으나 참고할만한 내용입니다. 관련규정 12. 화재보호 12.7 방화벽 12.7.6 개구부방호 12.7.6.6 유리 12.7.6.6.10 The total combined area of fire protection glazing in fire window assemblies and fire door assemblies used in fire barriers shall not exceed 25 percent of the area of the fire barrier that is common with any room, unless the 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