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4/15 (2)
한국화재연구소
연구목적: 최근 냉장·냉동 창고가 대형 및 복합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냉장·냉동 창고 화재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냉장·냉동 창고는 화재 확산 위험이 큰 건축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감지가 요구된다. 하지만 저온 환경의 특성상 감지기 적용이 어려워, 설치 제외 대상으로 규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흡입형 감지기를 대상으로 성능평가 수행 및 현장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온 창고 내 감지기 적응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저온 환경 내 공기흡입형 감지기의 작동 특성을 분석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3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내용과 실제 현장을 조사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온 환경에서 화재 인식이 둔감하며, 공기흡..
연구목적: 냉장·냉동 창고에서의 화재는 매년 지속 발생하며, 동결 위험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 제외 대상으로 규정되어 화재 대응에 취약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냉장·냉동 창고의 화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클러 설비를 주요 화재 대응 시설로 선정하고, 설비의 성능을 평가하여 화재 예방 및 진압 능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냉장·냉동 창고의 특수 환경을 고려하여 세 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배관 내 소화수가 15분 이내에 방출되지 않을 경우, 동결로 인해 설비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배관 관통부와 클래퍼 내부에서 결빙 및 응축수가 발생함이 관찰되었다. 조기반응형 헤드는 표준형 헤드보다 화재 초기 대응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