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물및시설 화재위험 (16)
한국화재연구소
BY 마이클 스피어포인트, 박사, 공학박사https://www.fireprotectionengineering-digital.com/fireprotectionengineering/library/item/q2_2024/4200054/?utm_medium=email&utm_source=rasa_io&utm_campaign=newsletter 소개 역사 주차장은 자동차가 발명된 이래로 거의 도시 환경의 일부가 되어 왔습니다. 초기 주차장은 마굿간을 개조한 것이었지만 19세기에 접어들면서 특정 건물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주차장의 대부분은 주차를 도와주는 직원이 있거나 초기 형태의 자동화된 기계식 주차를 사용했습니다. 처음에 주차장은 또 다른 유형의 창고 건물로 취급되었습니다. 그러나 건물과 차량..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소화 실험고병용, 유선화*, 최대현**, 한국일***,†한국토지주택공사 팀장* 한국토지주택공사 차장**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요약최근 국제 환경문제 심화와 국내 친환경 정책 등으로 전기차 등록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 증가와 함께 화재 발생 건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나, 전기차 화재 진압 실험 외 화재 위험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실험이나 현재 적용된 소방시설의 적응성에 대한 검증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에 따른 소방시설의 적응성 분석을 위해 기존 건축물에 적용된 소방시설 조건을 고려하여 전기차 화재에 대한 소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
https://www.kfpa.or.kr/webzine/Recent/insurance1.html 한국화재보험협회 웹진 107호한국화재보험협회 웹진 107호www.kfpa.or.kr
https://www.fpn119.co.kr/182627 [화재조사관 이야기] 신(神)의 노함인가, 안전불감증인가?세계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토속신앙이 있고 그 신앙을 숭배하는 사람들이 있다. 신앙이란 어쩌면 인류와 함께 존재했던 정신적 버팀목이 아녔겠느냔www.fpn119.co.kr
2003년 화재발생 당시 기고하였던 글 입니다. 사고는 끊임없이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동일한 사고가 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늘 긴장된 마음으로 대비해야 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 본 기사는 대한기술사협회에서 대구지하철 참사사고에 대하여, 소방기술사(방재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기계설비기술사(유독가스의 배연에 대한 검토),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화재시 발생했던 전원공급 장애에 대한 분석), 전기철도기술사(지하철 운행에 관련된 전원공급 부분 분석) 그리고 토목구조기술사(화재에 의한 지하철 역사의 구조적 안전에 대한 문제)가 온라인으로 참여를 하여 심층적으로 분석을 한..
유입변압기(TR) 내부의 절연유가 발화점 이상 과열된 상태에서 외부로 누출될 경우 곧바로 화재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이 매우 급격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마치 폭발적인 형태의 화재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절연유는 일종의 유류와 같아, 누출 시 화재형태는 전형적인 유류화재의 모습을 보입니다. 대부분의 TR 화재는 절연유가 흘러내리면서 연소하기 때문에, 소화가 매우 어렵고, 발열량이 커 인접 TR로의 연쇄적인 화재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TR 화재는 용량이 클수록 화재강도가 커지며, 화재 시에는 소화가 어려워 인접 TR과 가연물로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대형 TR의 경우에는 화재강도가 수 십 MW에 달하기 때문에, 복사열에 의한 연소확대 위험이 높아지고 소화활동..
유압유는 윤활유와 기계유 등과 비슷한 인화점과 발화점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 사용압력이 높아 누출거리가 긴데다 Mist 또는 Spray 형태로 분무될 가능성이 커, 인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착화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프레스기기 등 유압유를 많이 사용하는 공정상 주변에 300도씨 이상의 고온표면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누출시 곧바로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다음 영상은 프레스기기의 유압유 호스가 갑작스레 탈락되면서 누출된 유압유가 바닥으로 쏟아지면서 점화원에 의해 착화되는 모습인데, 다량의 누출과 폭발적인 연소로 순식간에 공정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장면입니다. https://youtu.be/CtmxTj9pKqg?si=ALzao1WXOZl62uXb 위 사진의 유압유 시험방법은 미국의 항공..
2017년 8월 23일 저녁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Pacific BioEnergy(PacBio)의 3500톤 규모의 우드팰릿 사일로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사일로 구조물의 손상 및 인명피해 없이 화재진압에 성공한 좋은 사례로 남았습니다. 처음 사일로 내부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후 7일동안 화재진압이 진행되었습니다. 대부분 물을 쏟아부어 진압을 시도하였으나 모두 실패로 끝난 과거의 사례를 교훈삼아 다른 방법을 시도하여 성공하게 된 것입니다. 물을 우드펠릿 사일로 붓게되면 그림1,2와 같이 팰릿은 물을 흡수하여 부풀어오르게 되며, 마치 담요처럼 덮어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며, 심할 경우 사일로를 붕괴시킬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부의 열분해된 매우 뜨거운 팰릿과 수분이 ..
FM연구소만큼 실대화재시험을 많이 하는 곳은 없는 듯 합니다. 파레트는 공장이나 창고 영업소 등에서 많이 취급하고 있으나 화재시 위험에 대해서는 많이 인식하지 않는 듯 합니다. 이번 내용은 FM연구소의 파레트에 대한 스프링클러작동시험과 인접가연물로의 연소확대를 위한 이격거리의 중요성에 대한 시험입니다. 파레트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잘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빠른 연소확대와 열방출률이 매우 크고, 반대로 소화시에는 물의 침투가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소화가 까다로운 화재로 분류됩니다. https://youtu.be/xHiAl-TnqCY?si=QEjbQd9hlOUQ37Mp [시험조건] 파레트 재질 : 플라스틱 팔레드 적재높이 : 1.8 m 팔레트더미 면적 : 6 m2 층고 : 9 m 인접가연물 이격..
초고층빌딩의 화재를 보면 참 무섭다는 생각이 듭니다. 무섭게 타올라가면서 빌딩을 화염과 농연으로 덮어버리는 모습은 세상을 집어 삼키는 악마같은 생각에 두렵기까지도 합니다. 9월16일 오후4시30분쯤 중국의 후난성 창사시에서 42층 규모 높이 200m 가까운 고층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하지만 화재의 크기와 형태를 보아서는 참으로 천운에 가까울 정도가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화재안전과 관련된 엔지니어로서 이번 화재를 보면서 들었던 느낌에 대해 몇가지 적어보려 합니다. 화재에 대한 정보가 없어 언론을 통해 확인된 영상과 간략한 내용들만 있어 분석이 아니라 생각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림1을 보면 화재가 크게 성장한 상태에서 피난계단실을 통해 여유있게 피난하는 모습이 있었는데 매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달리던중 터널에서 자동차 화재가 발생한 것을 목격하고, 진입여부를 고심하다 그리 긴 터널이 아니고 터널내부의 연기유동에 대한 호기심도 있어 찍었던 동영상입니다. 제가 우려했던 부분은, 차량화재 위치에서는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사람들이 안전하다고 믿고 진입을 하지만, 결국 연기층은 냉각되어 하강할 것이고 터널 출구전에서 시야확보가 되지 않는 위험 때문이었습니다. 짧은 터널이었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촬영이 가능했었지만... 화재위치로 부터 멀리 떨어졌으나 터널출구로 지나가는 동안 연기층의 농도가 점점 짙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터널은 물론 일반건물도 시간이 지날수록 화원으로 부터 멀리떨어진 피난구 근처의 연기층 농도가 짙어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화재안전계획이 고려되어야 할..
공간의 특성이 화재형태와 전개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1999년에 발생한 몽블랑터널 화재로 볼 수 있습니다. 터널구조는 양끝에 개방된 구조를 가진 매우 긴 굴 같은 구조로서, 터널의 길이가 길수록 공간의 체적에 비해 개구부(터널입출구) 면적이 작아져 마치 지하층과 같은 밀폐구조에 가까워집니다. 몽블랑터널의 경우 11.4km에 달하는 매우 긴 터널로서 거의 밀폐공간과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동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의 경우 4km가 넘는 터널도 있습니다. 몽블랑터널의 화재사례를 통해 매우 특이한 점이 있어, 밀폐공간을 포함한 비슷한 공간의 화재특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몇가지 적어보았습니다. 1. 화재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손실이 거의 없어 방출열의 대부분이 ..
국내에서 이런 사고가 일어날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가스충전소에서 누출된 LPG가스가, 겨울철 차가운 바닥으로 인해 기화하지 못하고 지면으로 퍼지면서 폭발로 이어진것 같습니다. 증기운폭발(UVCE)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4kVk6Kyjlc&pp=ygUT7Y-J7LC9IOqwgOyKpO2PreuwnA%3D%3D "웬 안개지?" 비상등 켠 사이 '콰쾅!' 불바다 된 평창 [뉴스.zip/MBC뉴스]00:00 "가스 냄새난다" 현장에 소방관 나가 있었지만 '펑'‥충전소 과실 여부 조사 (2024.01.02/뉴스데스크/MBC)02:14 반경 300미터 '쑥대밭'‥잇단 인명피해에도 관리 소홀 (2024.01.02/뉴스데스크/MBC)04:19 평창서 ..
화재원인 중 많은 부분이 화기작업 중 발생합니다. FM글로벌의 화기작업허가서 양식입니다. 사업장의 화기작업허가서 재개정에 도움이 될 듯합니다.
대규모지하주차장 화재안전성능강화 설계가이드 부산광역시소방재난본부
쿠팡화재를 계기로 대형물류창고가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물류창고는 보험가입도 까다로운데, 화재시 전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당연하겠지만 화재하중이 큰데다 공공소방대의 진압이 매우 어려운 구조적인 특징때문으로 판단됩니다. 물류창고 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사용하는 창고들, 특히 랙크식 창고의 경우에는 비슷한 화재특성을 가질것으로 판단됩니다. 랙크식창고가 진압이 어려운 이유중 하나는, 창고내부가 밀폐되어 있어 진입이 어렵고, 화재시 랙크 전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낙하물에 의한 위험과 유독성가스의 다량발생 그리고 수직적재형태에 따른 연소확대가 매우 빠른것들이 그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따라서 물류창고의 경우에는 무엇보다 자동식소화설비에 의한 진압성능이 매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