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재진압설비.기구 (33)
한국화재연구소
근래에는 건식밸브가 설치된 곳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현재는 많이 설치하지 않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된 것 같습니다. 아마도 셋팅과 복구절차가 어려워 방치사례가 많다보니 작동기능에 문제가 많아 설치가 줄어든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건식설비는 2차측 배관용적이 클수록 화재시 공기방출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방수를 위한 부가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이그져스터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설치전 상태내부의 챔버들은 대기압 상태이며 맨 아래쪽의 15번 주밸브는 닫힌 상태를 유지함 (2) 설치후 상태아래 왼쪽 연결부에 밸브 2차측을 연결하면, 1번 상부챔버, 2번 보조챔버, 5번 하부챔버가 가압된다. 이때 상부챔버와 보조챔버의 압력이 같기 때문에 13번 밸브..
현재는 건식밸브를 거의 설치하지 않고 있으나, 오래된 공장이나 건물에는 간혹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건식밸브의 주변배관이 복잡하다보니 관리가 잘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중 외국제품인 Viking사의 건식밸브 주변배관의 평상시 셋팅 자료입니다. 혹 설치된 현장이 있으시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FPA13의 준비작동식설비 2차측 감시공기압 관련 규정을 보면, 8.3.2.5.2논인터록과 더블인터록은 최소 7psi(0.5bar)의 감시 공기압 또는 질소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위의 규정을 보면 감시공기압의 최소압력 기준은 논인터록과 더블인터록만 규정하고 있습니다. 싱글인터록은 제조사의 매뉴얼을 따르도록 되어 있습니다. Why ? 스프링클러 신 : 궁금하냐? 학생 : 네 스프링클러 신 : 논인터록은 싱글인터록에 비해 헤드가 감열되어도 밸브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그건 분명히 싱글인터록에 비해 좋은 장점이긴 하지 학생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스프링클러 신 : 그런데 헤드가 감열되어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는 건식밸브 처럼 방수지연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 학생 : 음... 그렇겠네요. 헤..
최근에는 스프링클러 설계시 수리계산이 일반화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존방식으로 설계하는 곳도 많습니다. 우리가 수리계산방식의 상대개념으로 규약배관방식( Pipe Schedule Method )을 이야기 하고 있으나, 화재안전기준에는 이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기존방식을 규약배관방식이라고 정의하기도 애매한 입장입니다.그래서 규약배관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 화재안전기준은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얘기 해보려 합니다. 사실 그리 어려운 개념은 아닌데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규약배관방식에서 제시한 헤드 개수별 배관 구경 기준으로 설계할 경우, 수리계산 없이도 펌프의 양정과 유량, 소화수량까지 간단하게 결정이 가능한 설계 방식을 의미합니..
설치 방법에 따른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밀도 분포 균일도 개선송재금, 김태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안전공학과 대학원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 요 약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조상 디플렉터와 프레임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불균질한 살수분포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주된 소화효과인 표면냉각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헤드 간 거리, 공급 유량, 헤드 설치방향, 헤드 설치높이가 살수밀도분포의 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스프링클러 분무의 살수분포 재현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헤드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헤드 하단에 소화용수가 공급되며 살수분포의 균일도가 향상되었다. 헤드 간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바닥면에 공급되는 평균 살수밀도를 유지하기 위..
https://youtu.be/QxX2W8BNSnM 국내에서 수행한 스프링클러 화재시험 영상입니다.K80의 표준형스프링클러를 UL 1626 Residential Sprinklers(주거용스프링클러) for Fire-Protection Service 에 따라 시험하였습니다. 설치한 스프링클러 - K80, 72C, 플러쉬형, 조기반응형, 방수압력 3bar 주거용스프링클러의 경우, 작은 용량으로 인명보호만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화재시험시 소화가능여부가 아닌 공간내 온도감소를 평가기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영상의 시험모델을 보면, 화재주위에 작은 칸막이를 설치하여 화점까지 물이 직접 침투하기 어려운 차폐화재를 구현하고 있어, 실제로 완전히 소화하기는 어렵습니다. UL 1626 평가기준천정으로부터 수직으로 7..
화재시 스프링클러 작동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엑셀로 만들어져 있습니다.프로그램은 미국 NIST에서 공개한 C-FAST 프로그램의 계산식을 엑셀에서 구현한것입니다.다양한 입력값에 따른 결과의 예측 등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표와 내용들은 다소 오래된 자료를 근거로 작성하였으나 큰 틀에서는 합리적인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참고 정도로만 이해 하시기 바랍니다. 공간의 용도화재면적, m2화원의 둘레, m단위면적 당 열방출률, kW/m2총 대류열방출률소매상점표준스프링클러10126255,000속동형스프링클러596252,500스프링클러미설치실 전체개구부의 폭1,200?넓게 개방된 사무실표준스프링클러16142552,700(화재플럼가까이)1,000(창문에서)스프링클러 미설치 : 연료지배형 화재47242558,000(화재플럼가까이)6,000(창문에서)스프링클러 미설치 : 구획전체 번짐실 전체개구부의 폭255?호텔의 침실표준스프링클러..
그림1. 역사적 배경 가스계소화설비는 1920년에 NFPA에서 CO2소화설비 규정을 마련한 후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니 거의 100년 정도의 긴 역사를 가졌습니다. 그 후 하론이 개발되면서 같이 사용하다 프레온 계열 화합물이 오존층 파괴 물질로 분류되면서 하론은 사용 중지되었고 현재는 CO2 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CO2가스의 위험성으로 신규소화설비로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 Clean Agent 가스 설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론의 경우 1947년부터 1202, 1211, 1301, 2402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원래 하론 104(사염화탄소)가 있었으나 독성이 강하여 1950년대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 소화 성능은 1202가 가장 낫지만 독성이 강하여, 1301을 가장 많..
일반적으로 많이 비치하고 있는 분말소화기를 예를들면, 제 1인산암모늄(NH4H2PO4)을 주성분으로 소화성능이 매우 뛰어나고, 일반가연물화재와 유류화재 그리고 전기화재에도 적응성이 뛰어난 탁월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흔하게 볼 수 있다보니 약간의 무시?도 받지만 소화성능만을 보자면 현존하는 소화약제 중 최고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소화기는 소방산업기술원에서 실제화재시험을 통해 성능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시험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A급화재 소화성능시험은 소나무나 오리나무를 일정기준으로 쌓은 모형에 소화시험을 통해 소화기의 능력단위를 부여합니다. 모형은 90개와 144개 두가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시험방식은 액체연료를 약간부어 점화후 3분 후에 소화를 실시하며, 시험자는 방화복을 착용하지 않고 소화..
화재진압에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재로 발생하는 열방출률을 알아야 합니다. 화재크기는 동력단위와 동일한 W 를 사용합니다. 가연물은 고유의 열량을 가지며 화재는 가연물이 가지고 있는 열량(에너지)을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열량은 Cal와 같은 개념이며 열량의 방출시간이 짧을 수록 화재의 크기는 커지면 반대로 열방출시간이 길수록 화재크기는 작아질 것입니다. 열방출시간이 매우 긴 화재의 대표적인 예가 훈소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화재크기의 산정은 방출열량을 얼마만한 시간동안 방출하느냐에 결정되므로, 이를 개념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화재크기(Heat Release late) = Q' = Cal/s = J/s = W 동력단위와 동일합니다. 표1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략적인 열..
소방펌프로 엔진펌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엔진펌프는 대부분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디젤엔진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빈도가 적고 장시간 방치 등에 의해 노후된 경우가 많아 화재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작동해야 하는 소방펌프실에 운전중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특히 화재위험관리가 중요합니다. 관련 내용을 실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유는 인화점이 40도 내외지만 펌프실의 구조에 따라 한여름철에는 인화점이상의 온도에 노출될 수 있으며 운전중 내부온도가 인화점이상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누유시 유증기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또는 외부 화재시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급배기구에는 인화방지망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그림1) 엔..
화재를 제어 또는 진압하기 위해 설치한 소화설비는 과연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지 21년도 소방청 화재통계를 통해 확인해보면 그림1과 같습니다. 우선 통계상으로 의미없는 건수를 제외하면 효과적으로 작동한것과 효과가 없는 경우를 합쳐 총 821건이며, 효과적인 작동은 82.2 %로 나타났습니다. 효과적으로 작동한 경우 인명피해는 화재건당 0.09명 이었으며 실패시 인명피해는 건당 0.25명으로 나타나 실패시 약 2.8배의 피해가 증가하였습니다. 재산피해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작동한 경우에 비해 실패시 무려 151배의 피해가 증가한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소화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인명과 재산피해를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재산피해에 비해 인명피해의 감소율은 매우 낮은 것을 볼 때 소화설비의 주된..
소화가스용기의 저장압력은 약제별로 다르지만 최소 24bar에서 최대 200bar 가까이 압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취급시 부주의 또는 약제 방출중 충격에 의해 탈락 및 전도될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림1은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저장용기실에서 가스 방출 중 진동에 의해 용기 고정장치가 풀리면서 고압실린더가 탈락하여 벽체를 소손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2는 이산화탄소 용기 하차중 충격에 의해 용기밸브가 파손되면서 시린더가 20m 이상 떨어진 식당의 2층으로 날아간 사고 사례입니다. 소화가스용기는 방출시 충격으로 실린더가 탈락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는것이 중요하며, 가능하면 그림3과 같이 실린더의 아래와 위 두군데를 고정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용기를 교체하거나 이동하는 등 취..
- 소방기술사 이택구 - 스프링클러의 로지먼트(Lodgement) 현상이란, 헤드 방수구를 막고 있던 플러그가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디플렉터프레임에 걸려 방수가 왜곡되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림1) 이럴 경우 화재시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워 화세제어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위해서 스프링클러 형식승인시 '걸림작동시험'을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7월 1일 부터 이 항목을 형식승인에 추가하여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UL과 FM에서는 표1,2와 같이 로지먼트 시험을 위한 UL199와 FM2000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시험방법은 방수압력별로 5~15개 정도의 샘플 시험을 통하여 판단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형식승인기준은 아래와 같이 2017년 신설후 2022..
스프링클러 송수구의 설치목적을 NFPA13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송수구의 설치목적은 자동식스프링클러설비에 압력을 더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의미는 송수구를 통해 설계유량을 송수하는것이 아니라, 압력을 더해 살수밀도를 높여 화재진압에 도움을 주기위한 것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국내기준은 송수목적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만, 송수구의 설치개수를 바닥면적이 증가할 수록 더 많이 설치하도록 규정한것을 추정하면, 아마도 스프링클러의 설계유량전부를 공급하려는 의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곳은 송수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1) 소방차의 급수용량을 초과하는 일제살수식 설비 2) 면적이 186 m2 이하의 단층건물 - 건물의 모든면에서 소방대의 접근이 가..
한국선급협회에서 오래전에 발간한 선박용 소화설비에 대한 가이드입니다. 선박의 특수성은 있으나, 소화설비의 기본 개념과 구조는 같아서 육상소화설비?의 이해에도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용이 매우 잘 작성되어 있네요^^ 문서의 내용을 설명한 부분입니다. 1. 이 Technical Information은 선박에 설치되는 각종 고정식소화장치와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2. 고정식소화장치는 소화작업의 최종 단계에서 사용되는 소화장치로서 높은 신뢰도와 안 전성이 요구되는 설비입니다. 하지만 소화장치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얻기가 어려워 선사 및 조선소 담당자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선사 및 조선소의 담당자들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이 Technical Information..
오래된 건물등에 가보시면 전기실과 같이 전기장치가 많이 설치된 공간에는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많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공간이 크지 않은 경우 소화기 방출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화기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로 EPS, 전산실, 엘리베이터기계실 등이 해당될 것입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다면 독성이 없는 Clean Agent 또는 분말소화기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Clean Agent의 경우에도 화재시 열과반응하여 생성되는 불화수소HF의 경우에는 독성이 크기 때문에, 가능한 물계통 소화기나 분말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공간에 CO2 소화기 방출시 농도를 계산해 보았습니다. 20kg 대..
이 책을 쓴지가 18년이나 되었네요. 당시 많이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때만 해도 자료와 정보를 쉽게 구하기 힘들다 보니 저 스스로 공부하면서 만든 책이었습니다. 저의 첫번째 책이기도 하고 출판후 많은 분들이 좋은 평가를 해주시어 특별히 기억에 많이 남기도 합니다. 저도 요즈음은 쉽게 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다보니 책을 많이 안 읽게 됩니다. 쉽게 접하는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책을 통해 만나는 즐거움과 깊이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내용은 여전히 괜찮네요 ^^ 책이 도움이 되시면 제게도 좋습니다.
탁월한 소화성능을 자랑하던 할론소화약제는 오존층파괴 물질로 분류되면서 역사속으로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할론을 완전하게 대체할 소화약제가 없는 상황에서 굳이 할론을 규제할 필요가 있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힘들게 개발하여 국내 생산이 가능했던 할론이 사용금지되면서 대체 소화약제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니... 파는 입장에서는 좋은거겠죠. 음....판매 국가들이 힘 좀 쓰는 애들이... 프레온류가 오존층 파괴물질로 분류된 이유는 염소와 브롬을 함유하고 있어서 인데, 위의 그림처럼 오존층까지 올라간 할론분자는 자외선에 의해 브롬이 떨어져 나가 오존과 결합하여 다시 산소와 산화브롬으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오존층을 파괴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염소와 브롬을 함유하지 않은 약제를 개발한 것..
- 이택구 소방기술사 기고 - 우리나라의 소방시설은 법에서 요구 해서 설치하는 형식적인 장식품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소방당국은 소방시설과 방화피난시설에 대하여 설치만 요구하지 정작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를 홀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가 소방안전시설에 대한 관계인의 주기적인 점검과 성능유지에 대한 중요성을 따지지 않고 오로지 법적 설치여부에만 매달려 있다. 현행 자체점검의 점검표를 봐도 어느누구도 쉽게 알 수 있다. 국가화재안전기준의 설치기준을 표로 나열하여 적합여부를 소방시설관리사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는 소방시설의 성능이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와 무관한 보여주기식 형식적인 점검으로 나중에 처벌을 위한 법적 근거를 남기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왜 선진국의 소방시설과 방화피..
- 이택구 소방기술사 기고 - 국내 소방인들은 제조업체의 광고, 선전 등에 의하여 장점만 노출되다 보니, 노벡1230(NOVEC1230) 소화약제에 대하여 너무나 오해를 많이 하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 이 소화약제는 환경적으로 타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보다 GWP가 낮은 것외에는 장점이 보이지 않는다. 환경적으로 우수하다는 것은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중에서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지 불활성가스 소화약제(이너젠, 질소 등)와는 비교도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불활성기체는 모두 공기중에서 존재하는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단점으로는 첫째, 이 소화약제 역시 불하고 만나면 불산(HF)가스가 발생된다. 약제량이 많아서 다른 약제 보다 덜 발생하지 않는다. https://www.fpn119.co.kr/58536..
물분무 설비는 대부분 옥외의 TR, 유류탱크, 액화가스탱크에 설치하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가 많이 유입되고 배관 부식이 빨라 유지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석탄 등의 컨베이어에 설치된 경우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의해 노즐이 더욱 쉽게 막히게 되므로 정기적인 시험과 검사, 청소가 필요합니다. 스프링클러의 오리피스 구경이 11~13mm 정도인데 물분무 노즐의 경우에는 10mm 이하가 대부분이어서 노즐 막힘에 더 취약합니다. 더욱이 액화가스탱크의 경우, 화재 시 탱크 전체표면을 골고루 적시지 못할 경우 BLEVE(액화가스 비등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물분무 설비의 노즐관리는 타 설비에 비해 더욱 중요합니다. 노즐이 막힌상태로 오래될 경우에는 굳어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방수시험..
날씨가 좀 쌀쌀해졌습니다. 본격적으로 겨울로 접어드는 모양입니다. 특히 이런시기에는 건강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문득 생각나서 몇 자 적어봅니다. 국내의 스프링클러 화재안전기준에는 스프링클러배관의 유속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러한 강제규정이 과연 타당한가 입니다. 배관유속은 배관의 구경산정을 위한 기준인데.... 설계시 적절한 배관 구경을 산정할 수 있도록 제시한 참고 데이타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일종의 배관설계매뉴얼 같은거죠. 예를들어 배관구경을 과도하게 작게 설계를 하게되면 마찰손실이 증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양정이 비정상적으로 커져 펌프선정 자체가 불가능해질 뿐더러 비용증가로 손해가 됩니다. 즉 강제로 배관유속을 정하지 않아도 설계를 아무렇게나 할 수가 없다는 것이지요. 배관유속기준을 1m/s를 초과..
NFPA13의 설계살수밀도-작동범위 곡선이 표.19.2.3.1.1와 같이 2022년에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표.19.2.3.1.1 경급 : 4.1L/min/m2 - 140m2 또는 2.9L/min/m2 - 280m2 중급1 : 6.1L/min/m2 - 140m2 또는 4.9L/min/m2 - 280m2 중급2 : 8.1L/min/m2 - 140m2 또는 6.9L/min/m2 - 280m2 특급1 : 12.2L/min/m2 - 230m2 또는 11.4L/min/m2 - 280m2 특급2 : 16.3L/min/m2 - 230m2 또는 15.5L/min/m2 - 280m2 많이 익숙한 그래프는 개정전이며, 빨간점으로 표시된 것이 개정후의 설계살수밀도-작동범위 입니다. 기존에 직선에서 선택할 수 있던것이 각 그..
가스계소화설비의 경우, 가장 중요한것은 설계농도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것입니다. Soaking time 이라고 하죠. 최근 많이 하고 있는 도어팬테스트를 수행하는 이유기도 합니다.국외관련기준입니다.
습식배관이 부식에 강하다는 것을 FM 통계를 보더라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화재시 부식으로인한 배관막힘에 의해 실패한 사례중 87%가 건식, 준비작동식, 일제개방식 시스템에서 발생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습식설비의 경우에도 배관내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잔류공기를 배출해야 하며, 작동시험 등에 의한 빈번한 물의 교체도 부식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습식의 경우, 물속의 용존산소에 의해 배관표면에 검은색 자철광이 형성된후 부터는 부식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고 합니다. 배관의 막힘은 부식으로 인해 발생한 결정들에 의해 발생하며, 건식 등의 설비는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1. 아연도강관의 사용 2. 건조질소 또는 건조공기의 사용 3. 배관내부의 잔류수가 완..
이탈리아 기업 EmiControls는 2011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화재 방지 솔루션을 개발해 왔습니다. EmiControls는 FT10e 미분무 터빈을 통해 기업이 화재에 보다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이탈리아 북부의 산티니 재활용 센터에 설치된 FT10e에 대한 간략한 사례 연구입니다. EmiControls는 고정식 및 이동식 소방 터빈을 개발합니다. EmiControls의 혁신은 물 분무의 높은 효율과 첨단 터빈 기술을 결합한 데 있습니다. 화재를 진압할 때 워터 미스트는 기존의 워터 제트보다 냉각 효과가 더 높습니다. 동시에 필요한 물의 양이 적어 진화 과정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먼 거리까지 미스트를 분사할 수 없어 소방관들이 미스트를 사용하는..
NFPA 25 Standard for the Inspection, Testing, and Maintenance of 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s 수계소화설비 검사,시험 및 유지관리기준 건축물의 방화, 내화 등과 달리 소화설비와 같이 Active systems은 꾸준한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국내에서는 법적으로 년2회 육안점검 및 작동시험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점검주기가 길고 점검방법과 점검항목이 상세하지 않아, 많은 사업장에서는 자체적인 점검규정을 만들어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참고가 될 만한 NFPA25의 내용중 결함에 대한 규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결함을 3가지 나눈다음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노란색태그..
NFPA25의 소방펌프(모터펌프) 유수시험절차입니다. 국내상황에 맞춰 작성하였습니다. 시험시 펌프의 압력계를 교정된 것으로 교체후 시험이 완료되면 다시 기존 압력계로 설치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네요. 1.시험전 소방대 및 시설대표자 등에게 통보 2.시험전 이상여부 확인 3.펌프 샤프트 정렬여부 확인 4.펌프 명판의 전압, 정격속도, 정격용량, 체절압력, 정격압력, 과부하압력 확인 5.체절압력이 설비구성품 허용압력을 초과한다면 펌프 토출밸브 잠금. 6.펌프 흡입측과 토출측의 압력계를 교정된 것으로 교체함 7.유량계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 8.유수시 문제될 외부요소에 대한 확인 9.유량계 2차측 밸브를 폐쇄한채 유량계 1차측 밸브를 개방한다. 유량제어는 2차측 밸브로 한다. 10.9번 항목으로 자동기..